본문 바로가기

Computer Engineering/Networks

단말시스템

2.1.2 단말 시스템

단말장치(Terminal)이란 디지틀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끝에 서서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 인간과 가장
친숙하게 communication을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단말장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로 발전을 하면서 초기 저속
TTY Mode Termianl에서 현재는 자체처리능력을 가진 Intelligent Terminal로 발전하게 되었다. 한편 통신업체에서 만들어지는
데이터 단말장치(DTE : Data Teminal Equipment)를 상호간에 연결 시켜 주기 위해 접속규격 표준을 CCITT(국제전신전화
자문위원회),EIA(미국전자공업회), ISO(국제표준기구)에서 권고하였다. 이것은 데이터 회선 종단장치(DCE : Data Circuit
Terminating Equipment) 와 데이터 단말장치사이의 전기적, 기계적특성들이 이들의 표준기구들이 규정을 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이러한 표준들이 정해지지 않았다면 현재 아날로그 신호를 주고받을 때 25pin, 37/9pin을 사용하고 디지틀 전송을 할 때는 15pin을
사용한다는 규정이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단말 시스템 구성

   단말시스템은 나눌 때 보통 음성, 데이터, 화상으로 나눌 수 있다. 음성단말시스템으로는 가장 이해하기 쉬운 장치로는 전화기가
   있다. 그리고 화상단말로는 FAX나 TV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단말시스템으로 DSU등이 있다.



  데이터 단말 (DTE : Data Terminal Equipment)

   시스템은 크게 입출력장치와 전송제어장치로 나눌 수 있다. 각종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는 입력장치와 이것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장치로 되어 있고 전송제어장치는 입출력제어장치,오류제어장치,기억장치,공통제어장치, 회선제어장치로 나누어져있다.



 
  입출력 장치

   입출력장치는 인간이 식별 가능한 데이터(문자, 숫자 등)를 컴퓨터로 처리가 능한 디지틀 신호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장치로는 키보드 등이 있고 출력장치로는 모니터나 프린터 등이 있다.


  전송 제어 장치

   전송제어장치는 문자 등의 정보를 송신할 때 병렬 비트를 직렬 비트로 배열하고 수신을 할 때는 직렬 비트를 병렬 비트로 배열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 고 HDLC 절차 등의 전송제어절차를 실행하고 DCE 사이에 정해진 인터페이스 절차에 의한 제어를 한다.



Terminal의 기능

 1. 입출력기능

  인간이 식별 가능한 데이터(문자, 숫자등)를 컴퓨터로 처리 가능한 직류2진 신호(디지틀 신호)로 바꾸거나 역으로 실행하는
  일을 주로 한다,

 2. 전송 제어 기능

  Terminal은 데이터회선에 연결되므로 전송 제어 기능은 꼭 갖고 있어야 한다. 이것은 지정된 전송제어절차에 따라 정확하게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기 위해서 이다. 그러나 통신제어장치(CCU:Communication Control Unit) 기능에 비교하면 매우 적은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데이터회선에서 직렬신호를 수신하여 문자로 조립하거나 ETB(End of Transmisson Block), EXT(End of Text)등의 제어
  문자를 검출하여 수신 데이타를 검사후 기기에 필요한 동작을 취하는 송수신 제어 기능과 에러 제어 기능이며, 여기에 다시 출력
  기능을 작동시키거나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기능이 포함된다.



  단말 인터페이스 (Terminal Interface)


    (1) 단말 인터페이스의 국제표준


      단말장치(DTE)의 접속규격(interface)은 통신망을 구성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물리적 장치의 규격을 정의하기도
      하지만 논리적으로 보면 통신을 원할 하게 통신규약(Protocol)등의 까지도 정의한다. 특히 DTE/DCE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기준 없었다면 세계각국의 통신장비 생산업자들은 각자 독자적인 방식으로 DTE/DCE를 생산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이들 서로 다른 회사에서 생산된 장비들을 서로 연결을 할 때 서로 매우 혼란하게 될 것이다. 한 예로 현재 56Kbps
      Modem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현재는 v.90으로 표준이 정해 졌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56Kbps 통신방식은 3Com의
      X2방식과 Roackwell의 K56Flex 방식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 회사에서 나온 56Kbps Modem끼리 서로
      연결해서 통신을 하려고 해도 제대로 통신이 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표준화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을 하는 곳으로는 단말 인터페이스의 조건을 다루는 곳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국제표준화기구)와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국제전기통신협회)가 있다.


    (2) DTE/DCE 인터페이스

      DTE/DCE Interface(접속규격)은 아래 그림과 같이 DTE(Date Terminal Equipment) 와 DCE(Data Circuit Terminating
      Equipment) 사이의 물리적 접속규격을 정의하고 조금 더 나가면 단말장치와 호스트컴퓨터사이에서 데이터를 원활히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Protocal까지 정의를 한다.
 




      DTE는 통신제어장치(CCU:Communication Control Unit)나 여러 종류의 터미널들이 이에 속한다.  그리고 이 장치들을 이용
      하여 공중회선이나 전용회선에 2진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려면 회선의 대역폭이나 전기적 신호에 맞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현재 잘 알려져 있는 장치로는 Modem이나 DSU등이 있다.  이와 같이 Modem이나 DSU와
      같은 장비를 CCITT에서는 데이터회선 종단단치(DCE)라고 말한다.


       DTE와 DCE 사이에는 기계적인 측면과 전기적인 측면 그리고 기능적인 면을 상호접속 처리해주는 장치를 DTE/DCE 인터
       페이스가 한다.  인터페이스의 기계적인 특성은 상호 접속회선의 숫자와 연결용 커넥터, 치수 등을 규정하는 것 을 말하며
       전기적인 특성은 상호 접속회로의 전압레벨과 관련되는 특성을 그리고 기능적인 특성이란 상호접속회로에 나타나는 신호와
       관련되는 특성을 말한다.



 
데이터 표준안 제정기구

     (1) CCITT (Consultative Comittee on International Telegaphy and Telephony)

       CCITT는 1959년에 창설되었으며 ITU(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의 산하기관으로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CCITT는 몇 개의 연구그룹으로 나뉘어 전화와 전신에 관한 여러 측면에서의 권고안을 만들어
       내고 있다.  예를 들어 전화전송, 전신교환, 전화채널, 전화교환, 신호방법, 잡음 등에 관한 것들이 있다.


     (2) 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는 1947년에 창설되었으며 80여개 국이 회원으로 되어 있다. ISO는 약 150여개의 기술위원회 있으면 이 위원회에서는
       데이터 프로세싱, 핵에너지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많은 표준안들을 개발하여 왔다. 이 기술위원회가운데 TC(Technical
       Committee)97이 컴퓨터정보처리에 관여하고 있으면 TC97은 15개의 SC(Sub-Committee)를 가지고 있다. 이 SC가운데
       SC6이 데이터통신관계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면 SC6 업무또한 광범위하므로 다시 3개의 실무 그룹으로 구분되어 있다.


      (3) EIA(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EIA는 1924년 RMA(Radio Manufacture Association)란 이름으로 창설되었으나 후에 EIA로 개편되었다. 데이터통신의
       표준에 대해서는 기술위원회 TR-30(Data Transmission)이 담당하고 있다. TR-30은 2개의 보조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는데
       TR-30.1은 신호품질, TR-30.2는 디지틀 접속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TR-30은 1962년 RS-232 접속규격을 개발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4) FTSC (Federal Telecommunication Standards Committee)

       FTSC는 미연방정보의 표준안을 국내 및 국제표준안과 비교 확인하는 일을 하며, CCITT,ISO등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일을 한다, FTSC는 표준안을 개발하기 위해하여 세 개 분야로 나눠서 일을 하고 있다. 첫 번째 분야는 변복조기 표준안
       (FED-STD-1005,FED-STD-1006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두 번째 분야는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파라메터와 관련된
       작업을 하며 세 번째 분야는 FIPS 데이터 암호화 알고리즘에 관한 표준안을 개발한다.


      (5)Bell System

       Bell은 표준안을 전문으로 만드는 기관은 아니다. 그러나 제품의 시장규모가 엄청나고 그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다른 데이터
       통신 제조업체들이 Bell 시스템을 표준으로 삼아 제품을 만들고 있다.


◈ CCITT의 표준안 CCITT의 표준안을 내놓고 있는데 이들 중 데이터 통신과 직접관련이 되어 있 는 것은 X와 V시리즈 이다.
 

A

CCITT의 업무분장 구조

B

표현에 관련된 여러 가지 방법

C

일반통신의 통계에 관련된 사항

D

전용회선의 요금 구조에 관한 사항

E

전화의 운영과 서비스의 질, 요금에 관한 사항

F

전신의 운영과 요금에 관한 사항

G,H,J

선로전송

M.N

선로유지보수와 측정

O

측정기기의 사양

P

전화전송품질과 전화기

Q

전화교환과 신호에 관한 일반 권고안

R1,R2

신호시스템

R,S,T,U

전신기술

V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

K,L

보호

X

공중데이타 통신망

Z

축적 프로그램 제어식 교환 프로그램 언어


                                                                      [CCITT의 표준 시리즈]




 

번  호

내  용

V.1

2진 부호 시스템의 상호교환에 필요한 기호

V.2

전화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의 출력 신호의 전력레벨

V.3

데이터와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국제전신부호 CCITT No.5 코드

V.4

데이터와 메시지 전송을 위한 7단위 코드의 구조

V.5

공중회선을 이용한 동기식 데이터 전송 속도

(600,1200,2400,9600bps 등)

V.6

공중회선을 이용한 동기식 데이터 전송 속도

(600,1200,2400,3600,9600bps 등)

V.15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음향 결합기에 관한 사항

V.20

공중회선을 위한 병렬 데이터 전송용 변복조기에 관한 사항

V.22

공중회선(교환회선)을 통한 동기식 1200bps 변복조기

V.22BIS

전용회선을 통한 동기식 1200bps 변복조기

V.23

공중회선을 위한 600/1200보오 변복조기

V.24

데이터 터미널과 데이터 통신기기의 접속규격

V.25

공중회선을 이용한 자동호출 및 응답장치

V.26

4선식 전용회선을 위한 2400bps 변복조기

V.26BIS

공중회선을 위한 2400/1200bps 변복조기

V.27

전용회선을 위한 4800bps 변복조기

V.27BIS

전용회선을 위한 4800bps 변복조기

V.27TER

공중회선을 위한 4800/2400bps 변복조기

V.29

전용회선을 위한 9600bps 변복조기

V.35

60-108kHZ 군대역 회선을 통한 48kbps 데이터전송

V.36

60-108kHZ 군대역 회선을 통한 48kbps 동기식 변복조기

V.37

60-108kHZ 군대역 회선을 통한 72k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

V.41

모든 코드에 사용이 가능한 에러 제어방식에 관한 사항

V.50

데이터 전송의 전송품질을 위한 표준한계 값


                                                                        [CCITT V시리즈 권고안]



 

번  호

내  용

X.1

공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국제 이용자 서비스 분류

X.2

공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국제 이용자 설비

X.3

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분해, 조립장치

X.4

공중데이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 CCITT No.5 코드의 구조

X.20

공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비동기 전송을 위한 DTE,DCE 접속규격

X.20BIS

V.21과 호환서이 있는 공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비동기 전송을 위한
DTE,DCE 사이의 접속규격

X.21

공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동기식전송을 위한 DTE와 DCE 사이의 접속규격

X.21BIS

V시리즈의 동기식 변복조기에 맞게 설계된 DTE의 PDN에서의 사용

X.24

공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DTE와 DCE사이의 인터체인지 회선에
대한 정의

X.25

공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패킷형 터미너을 위한 DCE와 DTE 사이의 접속규격

X.28

동일 국내의 PDN에 연결하기 위한 DTE/DCE접속

X.29

패킷형 DTE와 PAD사이에 제어정보 및 데이터 교환에 대한 정차

X.40

기초군(Primary group)을 주파수 분할하여 전신과 데이터 채널을 만들기 위한
주파수편이 방식의 표준화

X.50

동기식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의 국제적 접속을 위한 다중화 방법


                                                                   [CCITT X시리즈 권고안]

'Computer Engineering > Netwo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TCP/IP 프로토콜  (0) 2007.12.08
IP 와 ATM  (0) 2007.12.08
MPLS  (0) 2007.12.06
기가비트이더넷이란?  (0) 2007.12.06
네트워크 기초  (0) 2007.11.12
데이터 교환 시스템  (0) 2007.11.12
데이터 전송 시스템  (0) 2007.11.12
네트워크의 종류  (0) 2007.11.12
네트워크 동작 원리에 따른 분류  (0) 2007.11.12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의한 분류  (0) 2007.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