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Engineering/Networks

IP 와 ATM

IP 와 ATM
 

90년대 network 양상을 이해하는데 좋은 토픽 하나가 ATM IP 이다.

이 두 단어는 사실 서로 mutual exclusive 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두 진영에
서 나온 까닭에 나중에 가서는 결국 IP 가 ATM 을 몰아내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먼저 이걸 이야기 하기에 앞서 약간의 background 살펴보자.

 

87 미의회가 data network 일반인에게도 개방을 허용함에 따라,  Network 새로운 양상을 맞게 된다. 사실 지금까지 내가 설명한 Phone Network 사실 우리가 아는 Internet 별개의 존재였다. 우리가 아는 Internet 거의 대부분 data 통신망을 의미하지만, 87 년에 법으로 개방되기 전까지는 망은 일반 사용자들은 없는 망이었다. 물론 이전에도, 특정 기관이 국지적으로 phone network  써서 자신들의 data 전송한 얘는 많았다. 우리나라에서도 한동안 kitel, hitel, unitel, nownuri 등등의 회사들이 data 전송망이 아닌 전화망으로 한동안 networking service 했었다. 하여튼 이후부터 미국에서 일반인들이 data 전송망을 공유할 있게 되었고, 다른 나라에서도, 각기 미국으로 전화선을 통해 data 망에 접속하게 됨으로써 세계의 data 망이 완성되게 된다.

(이제 세계는 하나….)

 

이와 더불어 국의 관리 회사들, 전화 회사들은 이전에도 그랬지만, 더욱 때돈을 벌게 된다. 그리고 회사들에게 장비를 파는 회사들 또한 많은 돈을 벌게 된다. 회사들 가운데 지금도 살아남은 회사들은 Cisco, Nortel, Fujitsu, Alcatel-lucent, Siemans, Ericsson, Motorola 등이다. Ericsson, Motorola 외에는 거의 들어본 적이 없지? 이유는 회사들이 주로 소비자가 아닌 회사를 상대로 물건을 팔아온 회사들이기 때문이다. Cisco 안다고? 그건 회사가 전략적으로 소비자들에게 image marketing 해서 그렇다. 그렇다고 집에 cisco 물건 하나라도 갖고 있는 사람 있냐? 없지? 그래도 회사의 2006 매출이 $280 이다. 우리돈으로 대략 1000 곱하면, 28 조원 인거지. 참고로 우리나라 최대 기업중 하나인 삼성전자의 작년 매출이 58.9 조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90 년대 초반의 data 통신은 사용자 쪽에 모뎀을 두고, 이놈이 data 전화선에 맞게 바꿔서 전화국으로 보내는 것이었다. 이렇게 되면 전화국 쪽에서 볼 때는 집의 전화기가 좀더 자주 신호를 보내는 것과 별반 차이가 없다. 따라서 전화회사는 버티다가 지역의 traffic 일정양 이상을 초과하면, switch 장비를 좀더 비싼걸로 바꾸는 정도였다.

하지만, 사람들이 처음 data 통신망을 만들때는 상상도 못하던, 무궁무진한 application 내놓기 시작하면서, 더이상 전화traffic 동일시 없을 정도로 data traffic 늘어났고, 얼마 되지 않아 data traffic network 망을 압도하게 된다. 이렇게 되자 효율적으로 기존의 voice traffic data traffic 함께 carry 있는 방법을 찾게 되는데, 중에 하나가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이다.

 
                                                         ( 나도 처음 보는 ATM 카드)


아는지
모르겠지만,  컴퓨터에서 나오는 data 0 1 조합이다 (디지털!). 그에 반해 우리의 목소리는 그렇지 않다 (아날로그!). 따라서 두개를 장비에서 처리를 하려면 보통 대세에 따라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바꾼다. 그런데 목소리라는 놈이 delay sensitive 놈이다. 그래서 초가 아니라, 0.1 초만 늦어져도 우리는 뚝뚝 끈기는 소리를 들을 있다. 헌데 90년대 초에도 아직 backbone transmission 속도는 150 Mbps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TDM 방식으로 data 순서대로 처리하다 보면, data 마다 delay 생기기 때문에 voice 안끊기게 전달하는 것이 힘들었다. 그래서 data 아주 잘게 썰어서 보내는 방법을 제안 했다. 모든 data (voice 포함) 잘게 썰어서 보내면, 받는 쪽에서는 감질나더라도, data 간에 delay 줄일 있다. 아래 그림을 보자.

 


                                                          (이상적인 경우)

 

이전에도 잠시 설명한 바가 있는데, Phone Network 에서 traffic 처리하는 방식은 시분할 방식이다. , 각의 사용자들에게 동일한 사용시간을 번갈아 주면서 시간동안만 전송을 허락하게 된다. 왼쪽 라인에서 1초당 한글자가 날아오고, 이때  mux 가 라인에서 한번에 글자씩 받아서 처리한다고 하면, A 2, B 2, C 2 이렇게 받으니까, 소요시간은 6초가 되고, 3번째 A 받게 되기까지 6 초가 지나야 한다. 하지만, 한번에 글자씩만 받게되면, 2번째 A 받기까지 3초가 소요된다. 따라서 A 라는 글자를 받는 쪽에서는 6초마다 한번씩 날아오던 것이, 단위는 적어졌지만, 3초마다 한번씩 날아오게 되는 거다.

 

따라서 voice 전달할 packet 간에 delay 를 줄일 있고, 전화회사의 열열한 환영을 받은 또다른 이유는 이놈이 data 전달하기 전에, 목적지까지의 path 먼저 만들어 놓고 전송을 시작한다는 거다.

위의 그림처럼 data 녹색 노드 도착을 하면, 노드는 이게 어디로 가는 놈인지를 보고, 목적지(빨강) 까지의 path 정한다. 뒤에 일정 시간동안 한번 설정된 경로로 계속 data 전송이 된다.

 

이와 대조가 되는 방식은 packet transmission 이다.

Packet transmission 일단 packet 받은 노드가 목적지까지의 path 고려하지 않고, 그냥 이웃 노드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local network 에서 IP packet 이런식으로 전송이 된다.

전자의 경우를 connection oriented 후자를 connection-less transmission 이라 한다.

방식을 비교하면, ATM 경우 전송이 reliable 하고, 관리가 용이하다. 하지만, 일정 기간동안 고정된 path 할당하기 때문에 망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반면, IP packet 경우 망을 훨신 dynamic 하게 있지만, packet 언제 전송될 지가 확실치 않고, packet 끼리 충돌을 해서 없어지기도 한다.

 

어느 나라던지 전화망을 운용하는 회사들은 효율성보다는 안정성을 훨신 중요하게 생각한다. 따라서 두가지 방식 가운데 먼저 주목을 받은 것은 당연 ATM 이었다. 또한 90 년대초 많은 network 분야의 research topic 또한 ATM 이었다. 그런데, 이게 voice digitize 해서 전송하는데는 문제가 없었지만, data 경우에는 장비가 복잡하고 비쌌다. 특히 local 에서 오는 data size 1.5KB 또는 9KB 까지 커지면서 이것들을 잘게 쪼개서 보내려다 보니 효율성이 심각하게 나뻐지고, 거기에 결정적으로 90년대 말에 telecom 시장이 엄청난 침체를 겪게 되면서 고가의 ATM 장비를 더이상 선호하지 않게 된다.

 

무렵 IP 진영에서는 슬기롭게 존심을 버리고, 전화망 회사가 가장 중시하는 안정성의 문제를 경쟁 기술인 ATM 참조하여 MPLS 라는 이름으로 점차 보완해 나아간다. MPLS 를 통해 IP 또한 connection oriented 전송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2000 년대에 들어서는 마침내 backbone 에도 Core router 라는 놈이 ATM SONET switch 대신하게 된다.

( 대표적인 Core Router 인 Cisco CRS-1)

이리하여 오늘날은 전 세계 곳곳에 Router 가 난무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리고 앞서 열거한 회사들 가운데에서 Cisco 가 현재 가장 앞서가고 있는 회사이다. 물론 Router 가 궁극의 solution 은 아니다. 옛날에 ATM 장비가 얼마나 비쌌을지 몰라도, 이 router 도 만만치 않게 비싸다. Powr 도 엄청 먹고. 따라서 전화회사들 처럼 돈을 시원하게 쓰지 못하는 곳에서는 Router 보다 저렴한 solution 을 원한다. 물론 Router 에서 되는 기능이 다는 안되겠지만. 그래서 Router 대신에 L3 switch 라는 놈이 나와서 일부 Router 의 market 을 가져갔다. 또한, 한때나마 10 G 장비를 앞세워 telecom 시장이 무너지기 직전에 살짝 1위를 했었던 Nortel 은 영국의 BT 와 손잡고 Carrier grade Ethernet 이라는 세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Ethernet 으로 backbone 전송을 하자는 거다. 물론 Connection-oriented 의 특성을 가미시켜서. 그 외에 몇 몇 회사들도 나름 고군분투하고 있다.
이것으로 과거사의 정리를 대충 끝내고, 앞으로는 앞에서 잠깐 얘기한 이 회사들이 어떻게 싸우고 있는가를 틈나면 얘기 할 것이다.

'Computer Engineering > Netwo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GP/RIP/IGRP/OSPF  (0) 2007.12.08
VPI &VCI  (0) 2007.12.08
SSL Protocol 개념과 동작 원리  (0) 2007.12.08
ATM VS Gigabit 비교  (0) 2007.12.08
1.2 TCP/IP 프로토콜  (0) 2007.12.08
MPLS  (0) 2007.12.06
기가비트이더넷이란?  (0) 2007.12.06
네트워크 기초  (0) 2007.11.12
단말시스템  (0) 2007.11.12
데이터 교환 시스템  (0) 2007.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