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Engineering/Networks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의한 분류

.2.3 네트웍 토폴로지(TOPOLOGY)에 의한 분류


토폴로지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와 이들 노들간의 연결 상태에 대한 기하학적인 배치를 의미하며 "통신망 구조"라고도 한다.
토폴로지 분류는 크게 Point-to-Point 방식에는 Star구조와 Ring구조가 있다. 스타 구조는 모든 노드를 일대일로 연결하므로 매우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든다. 링 구조는 구성은 간단하지만 약간은 통신 지체가 발생 할 수 있고 각 노드마다 특정 고유주소를 할당
하여야 하며 어떤 노드를 찾아갈 때 어느 길로 가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멀티 포인트 방식에는 버스구조는 케이블 링에
소요되는 비용이 최소이며 각 노드의 고장이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베이스밴드방식을 사용하면 민감
하여 거리 상 제약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Figure 2.3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종류



  ● Star Topology    교환기를 중심으로 한 일반적인 전화망에서 유래했으며, 아래의 그림처럼 중앙의 제어점으로부터 모든 기기가 Point-to-Point
   형태로 연결되어있다.  이 방식의 장점은 고장의 발견이 쉽고 수리가 용이하며, 한 기기의 고장이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다는
   점과 시스템의 일괄변경과 데이터베이스 관리가 용이하는 점이다.  하지만, 중앙의 제어기가 고장이 나면은 시스템은 일시에
   운영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되며, 최초 설치 시 케이블링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즉, 성형(Star) 구조는
   아래 그림 2.4와 같이 중앙의 집중화장비(Concentrator)로부터 각각의 단말이 일대일(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허브에 스테이션(Station)을 연결하는 형태가 여기에 해당한다. 각 스테이션의 변화에 대응력이 크지만, 집중화장비
   장애시는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준다.


           
 

Figure 2.4  Star Topology

 

  ● Bus Topology
   버스(Bus)형은 그림 2-5처럼 모든 스테이션들이 공통 배선을 두고 이 버스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스테이션의 추가,
   변경, 제거 등이 비교적 용이하나, 버스의 장애 시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단점이다. 버스를 흔히 백본(Backbone)
   이라고도 한다.  모든 노드들이 버스에 T자형으로 연결되어 상호 Point-to-Point 형태를 취하며, 버스와 각 노드의 연결은 어댑터
   (Adapter)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버스에는 종단기(Terminator)를 둔다.  베이스밴드(Baseband) 전송 방식으로 쓸 경우에 거리에
   민감하며, 노드의 증가시 속도가 떨어지며, 음성전송에 어려움이 따르는 단점과 Bus Topology 케이블링에 소용되는 비용이
   최소이며, 각 노드의 고장이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신뢰성과 확장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국내 및 해외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CSMA/CD 방식이 대표적이 예이다.  또한 토큰 버스 방식에도
   사용된다.


     
 

Figure 2.4 BUS Topology



  ● Ring Topology
   각 스테이션들이 링(Ring)처럼 연결된 구조를 링형이라고 한다.  그림 2.5와 같은 링형은 스테이션의 추가, 변경 및 제거가 어려
   우나, 특정 스테이션의 장애 시에도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같이 두 개의 링을 연결
   하는 경우도 있다.  FDDI는 1987년 ANSI X3T9.5 표준위원회에 의해 발표되었다.  비디오나 그래픽 데이터와 같은 큰 대역폭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나타남에 따라, 더 큰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LAN환경에 대한 필요성에 의해 등장하게
   되었다.  링의 형태로 한 방향으로 통신하게 되며 각 노드에서 신호의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거리의 제약이 적고,
   잡음에 강하다. 
   링의 형태를 취하나 결국 일 방향 Point-to-Point 형태이다.  광섬유의 특성에 잘 부합되며, 통신제어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다. 
   노드의 증가 시 버스방식에 비해 속도의 감소가 심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큰 네트워크에 많이 사용된다.  다른 구성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들고 노드의 추가나 변경이 어려우며 한 노드의 고장은 전체 네트워크의 고장을 야기한다는 단점이 있다.  분산제어와
   체킹(Checking) 및 회복(Recovery)이 가능하며, 주로 FDDI(Fiber Data Distributed Interface)에 사용된다.


 

                 

 


 

Figure 2.5 Ring Topology




  ● Tree Topology
   백본에 여러 개의 집중화 장비가 계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허브나 스위치를 이용하는 네트웍에서 많이 볼 수 있다.




Figure 2.6 Tree Topology

'Computer Engineering > Netwo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말시스템  (0) 2007.11.12
데이터 교환 시스템  (0) 2007.11.12
데이터 전송 시스템  (0) 2007.11.12
네트워크의 종류  (0) 2007.11.12
네트워크 동작 원리에 따른 분류  (0) 2007.11.12
네트워크 범위에 의한 분류  (0) 2007.11.12
네트워크상의 통신 채널 할당 기법  (0) 2007.11.12
LAN 의 기술 방식  (0) 2007.11.12
스위칭 기술  (1) 2007.11.12
흐름 제어 (Flow Control)  (0) 2007.10.26